우리나라 의료 인공지능 실행 경쟁력은 아래 네 가지를 꼽을 수 있습니다.
① 세계 최고 수준의 ICT 인프라
② 최상위권의 의료장비 보유
③ 세계적 수준의 AI 영상인식 기술력
1.22. 세계 최고 수준의 ICT 인프라
◯ 우리나라 ICT 인프라는 세계 최고 수준으로, 타 산업과의 융합을 가속화하면서 집중 투자를 하여 지능정보사회 선도적 위치 선점이 가능합니다.
- 국제전기통신연합(ITU)이 2016년 일본 히로시마에서 발표한 정보통신기술발전지수(이하 ICT 발전지수)에서 조사대상 167개국 중 한국이 1위를 차지하였습니다.
1.23. 최상위권의 의료장비 보유
◯ 우리나라의 CT, MRI, PET 등 고가의 진단 및 검사 영상장비 보유 수준이 OECD 평균보다 월등히 높고, 세계 최상위권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 인구 백만 명당 영상장비 보유대수를 보면 2014년 현재 CT의 경우 37.09대로 OECD 평균(2013년) 25.6대 보다 높고, MRI는 24.5대로 OECD 평균(2013년) 14.6대보다 두 배 가까이 많은 편입니다.
이름 | 의미 | 한국현황 |
PACS | 의료영상 디지털 솔루션 | 보급률 세계 1위 |
EMR | 전자 의무 기록 시스템 | 보급률 세계 1위 |
SCM | 의료 공급 관리 시스템 | 세계 최선두 |
CDSS | 임상 의사 결정 지원 시스템 | 세계 선두 |
우리나라 병원의 영상시스템 보급 수준
1.24. 세계적 수준의 AI 영상인식 기술력
◯ 글로벌 기회선점을 위한 국내기업들의 시도가 다양화되고 있으며, 특히 영상인식 및 분석 기술은 세계적 기업과 비교가 가능할 정도로 우수합니다.
- 이미지넷이 주최하는 2015 이미지 인식 기술대회(ILSVRC)에서 머신러닝 스타트업 루닛(Lunit)이 주요 경연 항목 중 객체 위치 식별(Object localization) 분야에서 5위 차지하였습니다.
- 디지털 의료 데이터가 풍부한 우리나라는 딥러닝 영상 진단 분야에서 유리한 입지를 차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합니다.
- 현재 전 세계적으로 의료 관련 인공지능 기술의 상용화로 수익을 내고 있는 곳은 없습니다.
※IBM 왓슨은 실제현장에서는 아직까지 제한적으로 활용 중 : 메모리얼 슬론 케터링 암 센터(Memorial Sloan Kettering Cancer Center)와 MD 앤더슨 암센터(University of Texas MD Anderson Cancer Center) 등에서 왓슨을 활용하고 있지만 전체 종양내과 전문의가 다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일부만 활용하고 있습니다.
1.25. 국내 바이오헬스산업 경쟁력
◯ 파괴적 기술혁신의 영향이 큰 바이오헬스산업의 특성상, 가장 중요한 산업경쟁력은 지식기반자본의 핵심인 기술 경쟁력이라 할 수 있습니다. 최근 5년간 국내 바이오헬스산업은 주요 제약기업의 기술 수출 등 연구개발 성과가 가시화되면서 기술 경쟁력의 강화가 두드러지고 있습니다.
※ 대표적인 사례로는 한미약품, 바이로메드, 코오롱라이프사이언스, 동아ST 등 연구개발에 적극적인 혁신형 제약사를 중심으로 하는 신약 개발 경쟁력 강화를 들 수 있으며, 국내 신약 기술이 해외에 수출되는 사례도 크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 또한, 바이오헬스산업 가치사슬 중 연구개발 후반 임상시험 단계에서의 글로벌 경쟁력도 강화되었으며, 유전자 치료제와 줄기세포 치료제와 같은 첨단 바이오 의약품의 선진국 임상시험은 양적·질적으로 확대되고 있습니다.
◯ 생산 단계의 경쟁력은 대기업을 중심으로 강화되어 왔음. 특히, 바이오시밀러와 위탁생산(CMO) 분야의 글로벌 경쟁력은 생산 규모와 품질, 가격경쟁력 관점에서 세계 우위를 점하고 있습니다.
◯ 한국 바이오헬스산업의 혁신 경쟁력 확보에 따라, 산업의 생산과 수출의 증가도 가시화되고 있음. 한국 바이오의약산업 생산은 2014∼2015년간 18.3%나 증가하였고, 2014년 생산액의 47%, 2015년 생산액의 55%를 수출하였습니다. 2015년 바이오의약품 수출 금액은 1조 8,944억 원으로 2014년 대비 41.1% 증가하였습니다.
◯ 이처럼 한국 바이오헬스산업의 최근 5년간 품질경쟁력과 가격경쟁력은 전반적으로 강화되었으며, 대기업보다는 중소기업의 경쟁력 강화 정도가 크게 높아진 것으로 분석됩니다. 향후 4차 산업혁명의 추진으로 수요 맞춤형 융합기술이 보다 적극적으로 개발되고 시장이 세분화됨에 따라, 국내 바이오헬스산업의 기술경쟁력, 품질 및 가격경쟁력 역시 증가할 것으로 전망합니다.